해당 수술 기록지를 기반으로 분석하면 다음과 같은 수술이 진행되었습니다:
수술 유형 및 진행된 과정
1. 수술 유형
일차 수술(Primary rhinoplasty): 처음 진행된 비개성형으로 보이며, 재수술은 아님.
2. 절개 방식
Open rhinoplasty(개방식 절개): 코 내부와 외부를 모두 노출시켜 정교한 작업을 수행한 것으로 보입니다.
3. 박리(Dissection)
골막하(Subperiosteal): 비골 아래쪽을 박리하여 더 많은 구조를 노출한 것으로 보입니다.
4. 연골 및 조직 채취
비중격 연골(Septal cartilage): 비중격에서 연골을 채취하여 필요한 부위에 이식.
이개 연골(Conchal cartilage): 추가적으로 귓바퀴 연골도 채취.
늑연골(Rib cartilage): 갈비뼈 연골도 채취하여 주로 구조적 지지에 사용한 것으로 보임.
5. 비중격 작업
비중격 절골술(Septum osteotomy): 비중격의 뼈를 조작하여 교정 및 재배치.
비중격 재배치(Septum relocation): 주로 코끝 지지를 위해 비중격을 재배치.
6. 이식(Graft)
스프레더 그래프트(Spreader graft): 비강 내벽을 넓혀 호흡을 개선하고 코 모양을 교정.
늑연골 및 점막 사용: 늑연골과 점막을 이용해 코 구조를 보강.
7. 보형물 삽입
실리콘 보형물(Silicone implant): 코등(dorsum) 부위를 높이는 데 사용.
외측(Lateral) 및 내측(Medial) 절골을 통해 정확한 삽입 및 교정.
8. 연조직 절제
Soft tissue reduction: 코끝 모양 개선 및 불필요한 연조직 제거.
9. 비갑개 외측 이동(Turbinates outfracture)
코 내부 공간을 넓히고 호흡 기능을 개선하기 위해 비갑개를 외측으로 이동.
10. 드레싱 및 고정
Silastic sheet, Merocel, Tape: 수술 후 코 모양을 유지하고 부기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
Aqua splint 및 테이프: 외부 고정 및 압박.
---
결론
이 수술은 비중격 교정 및 연골 이식을 포함한 정교한 **구조적 비개성형(structural rhinoplasty)**으로, 미적 개선뿐만 아니라 기능적 개선(호흡 문제 해결)을 동시에 목표로 했습니다.
코끝 지지, 콧등 높이 조정, 내부 공간 확대 등이 주요 목적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