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료같은 부분에서 선택지가 제일 많고 완벽한 재료는 없어서인가 잘못된 정보 너무 많고 제대로 알아보지도 않은 사람이 너어무 많음.
비중격 같은 경우도 그냥 무지성으로 쓰지마라 이게 아니라 개인이 갖고 있는 비중격의 특성이 중요한거임. 본인이 갖고 있는 비중격이 단단하지 않거나 짧으면 비중격으로 코끝 올림을했을 때 버텨주질 못하니까 무너지는거고,,
가장 이슈가 되는 실리콘도 실제 통계상으로는 무균상태로 깨끗하게 수술이 잘 된 경우 대부분의 사람들에게는 염증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는게 거의 밝혀졌고, 염증반응으로 구축이 일어나서 여기저기 글 쓰고 다니는 사람의 경우 그 사람이 수술 이후의 관리 (특히 흡연, 음주)를 제대로 했었는지, 재수술로 코를 여러 번 열었었는지 (재수술 횟수가 많아질 수록 실리콘 염증반응 확률이 올라감), 본인이 가진 피부나 본인의 상태에 비해 과하게 높이를 올리진 않았는지 이런 사항들을 알 수가 없어서 걸러서 들어야돼. 물론 이를 다 지켰음에도 몸에서 안 받아주는 체질이 있는건 사실인데, 확률이 낮지만 염증이 생겨도 빠른 시기에 실리콘을 빼면 완전히 해결되기에 실리콘을 완전히 배제할 만한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해.
기증늑도 첫수술의 경우에는 비중격이나 다른 연골에 덧대듯이 해서 하는 경우는 괜찮다고 들었음.
이외에도 잘못된 정보가 너무너무 많는데 제대로 알아보고 수술 준비하자. 본인 코잖아 제대로 이것저것 찾아보고 팩트 끄집어서 뭐가 맞는지 기준을 확실하게 세워야돼
마자 나도 수술 전에 비중격 얼마나 남겨둬야 하는지 논문이나 타 병원 원장님들 의견 찾아봤을 때 1.3~1.5 남겨야 한다고 했는데, 내가 수술하기로 한 원장님도 1.3~1.4 남겨두고 쓸거라고 하셔서 안심했었거든,, 본인 비중격이 얼마나 되는지랑 원장님한테 어느 정도 남겨둘건지 확인 해보는 것도 조은 듯!
[@뭐라노진짜] 귀연골로 지지대를 세웠을 경우 쳐질 가능성 있는거 맞아. 힘이 약해서 그래. 근데 비중격은 어느정도 단단하기 때문에 수술만 잘 이루어지고 피부가 너무 타이트하지 않게 여유분을 잘 남기면서 적당하게 수술했다면 쳐지지 않음. 자가늑같은 경우 버티는 힘이 제일 강해서 쳐짐에 강하기는 하나 비용도 많이 올라가고 수술 이후 통증도 심함. 자가늑같은 경우 높이에 욕심이 많다 화려하게 하고싶다 하는 경우 추천하나, 높이를 많이는 안 올려도 되면서 비중격이 어느정도 양이 되고 튼튼하면 비중격을 안 쓰는 이유가 없긴 함
[@흠냐흠냐뤼] 음.. 나 개인적으로는 분명 그렇게 하면 귀연골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으나, 귀연골이 가진 둥글둥글한 특성 때문에 모양적으로 일자로 뻗은 비중격에 비해서 이상적인 모양은 나오기 힘들다고 봐,,, 물론 재료의 사용도 환자가 원하는 코의 모양, 환자가 가진 특성에 따라서 다르긴 하겠으나 난이도가 높은 어려운 수술을 굳이 다른 좋은 재료가 있음에도 시행하는건 나는 좀 그렇다고 봐. 난이도가 어려운 만큼 의사가 실수할 가능성도 커지니까
정말 캐바캐인듯.. 흡연하고 음주해도 실리콘 구축 안오는 사람도 있는 반면 아무리 소중하게 관리해줘도 구축오는 사람도 있으니깐 이건 내 몸이 버텨줘야하는 것 같아..
가끔 그냥 모양 마음에 안들어서 재수 4번 한 이야기 듣거나 하면 그 사람은 정말 축복받은 몸땡이라고 생각해 ㅋㅋㅋㅋ 그리고 코가 작으면 무조건 비중격이 작다!! 하던데 코가 작을 수록 비중격이 작을 확률이 높은거지 실제로 그렇게 안작은 확률도 있다고 하더라.. 난 이번에 첫수술인데 코가 작은 편이라 혹시 모를 일을 대비해서 다른 늑+코 할건지 비중격+귀연골 할건지 너무 고민대... 혹시 코끝에 기증늑하고 귀연골 같이 사용하면 흡수될 확률이 적을까?? 내가 원하는건 자려<<자연인데...
[@] 흡수율은 사람에 따라 너무 달라서 예측할 수 없어. 어떤 사람은 거의 다 흡수되서 무너지는 경우도 있지만 어떤 사람은 거의 그대로 남아있기도 하다더라. 나라면 일단 비중격으로 해달라고 할 것 같긴 한데, 만일 수술 진행중에 비중격이 안 될 것 같다는 판단이 나면 무리하게 진행하지 말고 기증늑을 꼭 “두께는 적당히 두껍게”해서 써달라 미리 말 할 것 같아. 내 생각에는 충분한 상황이라면 비중격+귀연골이 베스트!
[@] 두 수술은 차이가 있는거로 알고 있어. 비중격 연장술은 높이+길이를 함께 연장하는 방식이고 비주 지지대 방식은 높이만 올려주는 방식이야. 비주지지대는 콧날개연골을 끌어올려서 콧날개연골이 피부장력을 받게 하는 방식이고, 비주지지대는 연장한 연골이 받는거라 콧날개연골의 크기, 단단함을 보고 방식을 결정해야 할 것 같아.
본문보고 예사 짬빱 보통아니란걸 느꼈다 .. 다 맞말이야 ㄷㄷ
뭐 하나 물어봐도 될까 ?
나는 코끝 높고 코끝피부 두꺼운 복코야. 코끝피부가 두꺼워서 콧대보다 코끝이 더 봉긋 올라가있는 반버선형. 콧대는 낮은 편은 아니지만 넓어서 절골하잔 말도 꽤 들음(반절 이상 추천) 공통적인 견적은 실리콘 얇게 넣고 코끝은 그에 맞춰 조금 올리자는 식.
내가 지금 예약해놓은 의사가 말하길 나는 얼굴형이 둥근 얼굴이라 (지금 통통한편) 뼈대만 봐서는 절골해야하는데 조화상 절골하면 가로폭에 비해 코만 열상해 보일꺼다라고 했어
코끝도 귀연골만 써서 귀연골지지대, 코끝마무리도 귀연골로 하자고 했고. 넓은 콧대는 살짝만 깎는대.
2순위로 맘에든 병원에서는 내가 콧대가 넓어서 시선이 코끝으로 가기 때문에 절골을하고 그대신 얼굴 가로폭 고려해서 조금만 하자고 했어. 그리고 코끝은 비중격이랑 귀연골 쓰자고 했고. 여기도 1순위 병원처럼 단점보완만 하는 식으로 플랜을 잡자고 했어!
나머지 병원들은 늑까지 쓰자고 하는 병원들도 몇 있었어 피부가 두껍기 때문에 귀연골쓰면 안되고 최소 비중격은 써야한대(누구 말이 맞는지 모르겠음 ㅠㅠ)
나는 높게 올리고 싶은 생각 없고 그냥 둥글고 뭉툭한 정면 콧망울을 개선하고 싶을 뿐이야.
근데 1,2순위의 수술플랜이 달라서 뭐가 맞는걸지 고민이 돼.. 내가 살빼고 2순위병원가서 세련되게 코모양 뽑는게 맞는걸까? 아니면 살빼도 큰차이 없으니 1순위 병원 말대로 절골안하고 귀연골만써서 수술하는게 맞는걸까?
[@] 나는 일단 살을 먼저 빼고 수술할 것 같아! 살 빼고 나면 얼굴형도 어떻게 달라질지 모르니까.. 가장 완벽한 수술을 위해서는 살 빼고 거기에 조화를 맞춰서 할 것 같아! 그리고 절골은 되돌릴 수 없어서 나는 콧볼축소, 절골, 매부리깎기 이 수술들만큼은 무조건 보수적으로 가야 한다고 봐. 수술 이후 숨을 잘 못 쉬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고, 그렇다고 되돌릴 수가 없는 수술이라.. 코수술 자체도 코만 따로 놓기보다는 본인의 얼굴 조화가 중요한 부분이크기는 커서 나는 굳이 한다면 정말 조금만 하고, 만약 본인이 봐도 필수적이진 않은 것 같다 하면 굳이 절골 안 하고 수술할 것 같아.